새해가 되었습니다.
2021년은 크게 2가지를
잘하고 싶습니다.
먼저 미래에 대한 대비를
어느 정도 해놓은 다음
현실에서 잘 먹고 잘 사는 것입니다.
그동안 회사생활을 하며 평일은
거의 업무에 올인을
했던 것 같습니다.
회사 뿐 아니라 저의 미래를
위한 일들 포함해서요.
약 18년도부터
그렇게 했으니 벌써
몇 년이 지나갑니다.
평일에는 퇴근 후 항상
대충이라도 무언가를 했던 것 같습니다.
그래서 조금이라도 쌓여 왔던 것 같고요.
이제는 미래와 현실의 질
높은 삶을 동시에 준비하면
좋을 것 같아서 이렇게 영상으로
만들어 보려고 합니다.
영상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먼저 노후에 필요한 자금을
얼마가 들어갈까를 대략적으로
계산해보고, 빠른 1억 모으기가
복리적 측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
수치로 계산을 해본 다음 몇
년 몇% 복리로 굴려야 의미
있는 수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
살펴보려고 합니다. 그리고
이후에는 월급을 어떻게 활용할 수
있을 지 살펴보며 보충할 점을
생각해본 뒤 영상을 마무리해보려고 합니다.
아마 저는 이 영상대로 10년~20년 뒤
되서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을 것 같습니다.
생각하고 말한대로 되기 때문입니다.
영상을 만들면서 생각도 하고 말도
하게 되니 참 좋은 것 같습니다.
거두절미하고 영상
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>노후에 필요한 자금은 얼마?
노후에 얼마의 자금이 필요할까요??
이건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
때문에 딱 정해놓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.
그래서 구글에 필요 노후
자금을 검색해 보았습니다.
그랬더니 보통 5~10억
사이가 나오는 걸 확인할
수 있었습니다.
그런데 기준이 55세부터
시작하니 만약 좀 더 빠르게
은퇴를 하여 생활할 거면
자금이 좀 더 많으면 될 것 같습니다.
제 기준으로는 간단하게
생각해서 집1채 + 10억
정도억정도 모으면
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목표가 너무 높은 것 같지만
목표니까 그렇게 잡아도 될 것 같습니다.
저정도 있으면 매년 4천만 원씩은
사용해도 자산이 줄어들지는
않을 것 같습니다.
월 300정도 소비하는 것입니다.
못해볼 수치는 아닌 것 같습니다.
월 300 정도 소비면
풍요롭지는 않으나 넉넉하게
사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.
>빠른 1억 모으기가 중요한 이유?
+몇 년 복리로 굴려야 노후준비 가능?
그렇다면 빠른 1억 모아서
굴리기는 왜 중요할까요??
간단합니다. 노후에 사용할 것이라고
가정했을 때 복리로 쌓이기 때문입니다.
먼저 1억을 15% 수익률로
굴렸을 경우 10년이면 4억
정도가 됩니다.
물론 15%를 매년 복리로 굴리기는
매우 어려울 것입니다.
그러나 못해볼 수치도 아니라서
도전 목표로 잡으면
좋을 것 같습니다.
1억을 만약 30살에 빠르게
모아서 15%로 매년 굴리면
40살이면 4억이 됩니다.
금융위기 이후로도
10년간은 태평성대였습니다.
그렇기 때문에 지금 코로나
위기 이후 10년간 태평성대라고
가정하면 비벼볼 수 있는
수치가 아닐까요??
만약 15년간 15%를 성공했다면
얼마가 되어 있을까요??
약 8억입니다.
이제 목표에 거의 다 와갑니다.
이렇게 갔을 경우 50세
전에 목표를 충분히 도달하여
금융 쪽에서는 은퇴가
가능할 것 같습니다.
20년이라고 가정하면
약 16억이 됩니다.
그러면 이제 지방에
집 한 채 사고 10억 금융자산
굴리면서 살 수 있게 됩니다.
만약 30살에 1억이 도달하였다면
50살쯤에는 충분히
은퇴가 가능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빠르게
1억 모으기가 중요한
것 같습니다.
그러나 큰 걱정이 없는 게
40대에 모았다 해도 남들보다는
조금 늦겠지만 60살에는 가능합니다.
요즘 100세 시대를 넘어서
120세 시대가 되는 마당에
언제 도달하냐는 크게 중요하지
않은 시대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.
언제 모으든 목돈을 모으고
잘 굴리면 충분히 미래에
도달할 수 있는 것이죠.
간단히 이렇게 계산을
해봤는데도 희망찬 미래를
꿈꿀 수 있는 것 같습니다.
만약 15%가 너무 높다고
생각하신다면 10%로 잡으면
더욱 안정적 투자가
가능할 것 같습니다.
10%로 잡으면 10년 후에는
약 2억 5천만 원이 됩니다.
년이면 4억 천만 원이고,
년이면 6억 7천만 원입니다.
이렇게 되었을 때는 매달
300은 못쓰고 150 정도만
사용해야겠지만 나중에 굶어
죽을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.
만약 15%가 힘들다면 10%로만
굴려도 노후에는 걱정이 없습니다.
제일 중요한 게 목돈을
빨리 만들고 지속적으로
굴리는 것 같습니다.
> 나머지 월급은 생활비 사용 가능?
이렇게 1억이라는 목돈을 만든 뒤
10년 15년 20년을 굴렸을 경우
미래에 저에게 들어오는
목돈을 알아보았습니다.
매우 간단히 미래를
그릴 수 있었습니다.
목돈은 지금의 나와는
별개로 돌아간다고 가정했을 때
분리해놓고 생각하면 좋을 것
같습니다. 그렇게 목돈은
목돈대로 10~15%로 굴리고
저는 회사일이나 생활비
버는 일정도만 해서 현실을
돌아가게 만들면 될 것 같습니다.
그렇게 되면 미래에 대한
부담이나 당장의 일에 조금
객관적으로 생각해볼 수
있게 될 것 같습니다.
저 목돈이 잘 굴러간다고
가정했을 때 당장 제 건강이나
목숨 관련 어려운 일은 거절할
수 있는 여유가 생길 것이고,
좀 더 차분히 대처할 수
있을 것 같습니다.
왜냐하면 저는 당장 살아갈
생활비와 조금의 여유자금만
확보하면 되기 때문입니다.
나머지는 다 좋아하는 일에
사용하거나 소비할 수 있습니다.
저도 지금 저 단계 초입에
있는데 예전 신입 때보다는
좀 더 마음이 가벼워진 것 같습니다.
> 보충할 점 및 보완점
그렇다면 보충해야 할 건
무엇일까요??
물론 저건 너무 간단한
생각이기 때문에 현실에서
조금씩 보완해서 사용해야
할 것입니다. 저 1억 목돈은
절대로 기간 내로는 빼서
써서는 안 되며,수익률을 무리하게
운용하다 실패를 해서도 안됩니다.
또 중간에 흔들려서도 안 되겠죠.
안정적이지 않은 위험성 높은
투기나 도박도 피해야 할 것입니다.
또 주거의 문제가 해결되지
않으면 문제가 조금 생길 수도
있을 것입니다. 하지만
어떤 리스크나 문제없이 큰 성과는
얻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.
따라서 일단 저 수치를 완성해놓고,
그 다음에 생각해본다면 앞으로
생길일들은 모두 해결할 수
있다고 생각합니다. 큰 목돈 1억
모으기도 성공했는데 다른 사소한
일들을 실패 할리 없기 때문입니다.
그동안 능력도 쌓여있을 것이고요.
> 마무리
오늘은 1억 모으면 노후준비
완료라는 주제로 영상을
찍어보았습니다. 젊거나
나이가 있거나 모두
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.
앞으로 100세 시대이기 때문입니다.
'재테크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간 가계부 5만원으로 1주일 살기(나머지는 주식투자 레츠고) (0) | 2021.01.07 |
---|---|
달러 1090원 붕괴!! 그러나 달러를 계속사는 이유 4가지(조금씩 사놔야겠습니다.) (0) | 2021.01.06 |
절약 재테크 12.20~26일 264000원 소비(아껴서미국 주식 at&t매수) (0) | 2021.01.01 |
미국 주식,한국 주식 피터 린치의 칵테일 이론입니다. (0) | 2020.12.24 |
미국 주식 1억을 4억으로 만드는 72법칙 소개합니다. (0) | 2020.12.23 |
댓글